모바일 메뉴 닫기
 

학사안내

Bachelor's Degree

2025-1학기 개설 전공과목 강의시간표

 

월요일

화요일

수요일 목요일 금요일

1

이오생활화학1

(정재환)

피부생명과학

(남개원)

핵심미생물학

(김성보)

 

유기화학입문

(정재환)

기능성식품학개론

(이진희)

 

2

이오생활화학1

(정재환)

피부생명과학

(남개원)

핵심미생물학

(김성보)

 

유기화학입문

(정재환)

기능성식품학개론

(이진희)

 

3

이오생활화학1

(정재환)

피부생명과학

(남개원)

핵심미생물학

(김성보)

 

유기화학입문

(정재환)

기능성식품학개론

(이진희)

 

4

바이오안전및독성학

(곽노성)

 

바이오통계학

(이혜선)

 

 

5

바이오안전및독성학

(곽노성)

 

바이오통계학

(이혜선)

 

 

6

바이오안전및독성학

(곽노성)

 

[국제캠퍼스]

바이오생활공학입문

(김성보, 정형일,

강혜진, 남개원)

 

바이오통계학

(이혜선)

 

바이오헬스케어기술과산업

(김성재)

7

바이오기능성소재학

(황재관)

 

[국제캠퍼스]

바이오생활공학입문

(김성보, 정형일,

강혜진, 남개원)

 

 

바이오생활생물1

(이유)

화장품제형공학

(김효정)

바이오헬스케어기술과산업

(김성재)

8

바이오기능성소재학

(황재관)

 

[국제캠퍼스]

바이오생활공학입문

(김성보, 정형일,

강혜진, 남개원)

 

바이오생활생물1

(이유)

화장품제형공학

(김효정)

바이오헬스케어기술과산업

(김성재)

9

바이오기능성소재학

(황재관)

 

바이오생활생물1

(이유)

화장품제형공학

(김효정)

 

10

 

바이오생활창의설계1

(남개원, 정형일)

 

 

바이오생활전공실험2

(김성보, 정형일)

11

 

바이오생활창의설계1

(남개원, 정형일)

 

 

바이오생활전공실험2

(김성보, 정형일)

12  

바이오생활창의설계1

(남개원, 정형일)

 

 

바이오생활전공실험2

(김성보, 정형일)

13

 

 

바이오생활창의설계1

(남개원, 정형일)

 

 

바이오생활전공실험2

(김성보, 정형일)

14  

바이오생활창의설계1

(남개원, 정형일)

 

 

바이오생활전공실험2

(김성보, 정형일)

15  

바이오생활창의설계1

(남개원, 정형일)

   

바이오생활전공실험2

(김성보, 정형일)

 

 ** 대내외 사정에 따라 수업시간은 변동될 수 있음  

과목종별 및 학정번호 코드 설명

교육대학원 개설과목은 다음의 5가지 과목종별(전공, 선택, 교직, 공통, 선수) 내에서만 선택가능하며, 수강신청 시 각 과목에 맞는 과목종별을 정확히 선택하여 입력하여야 함.

과목종별 안내

과목종별 안내
과목종별 설명
전공
(전공필수)
  • 본인의 전공에 개설된 과목 중 “전공필수”로 표시된 과목. “전공선택”으로도 수강신청 가능
  • 학정번호 숫자코드 중 셋째자리가 “0”으로 표시되어 있음
  • 졸업 이수학점 → 석사과정 : 3과목(6학점), 연구과정 : 2과목(4학점)
선택
(전공선택)
  • 본인의 전공에 개설된 모든 과목은 “전공선택”으로 수강신청 가능(전공필수, 교과교직도 전공 선택으로 수강신청 가능.) (단, 전공선택은 전공필수, 교과교직으로 수강신청할 수 없음)
  • 학정번호 숫자코드 중 셋째자리가 “2~8”은 전공선택으로만 수강신청 가능
  • 졸업 이수학점 → 석사과정 : 5과목(10학점) ~ 7과목(14학점) / 연구과정 : 2~3과목(4~6학점) P.6 참조
공통
  • 교육대학원 내 본인의 전공 외 타전공에 개설된 모든 과목을 ‘공통’이라는 과목종별로 선택하여 수강가능함 (단 서울캠퍼스는 교직이론과목을 공통으로 신청할 수 없음).
  • 학점이 없으며, Pass/Non-Pass로 성적이 평가됨.
  • 한 학기 1과목씩만 수강이 가능하며, 재학 중 최대 4과목까지 수강 허용됨. ( * 필수 이수과목 수 → 석사과정 : 3과목, 연구과정 : 1과목)
  • 4학기에 공통을 수강신청하는 “개별논문지도”는 논문학기 진급을 위한 것임.
교직 교직과목
  • 교육대학원 개설과목 중 3개 영역의 “교직과목”으로 개설되는 과목
  • 수강신청시 학사포탈시스템 전공구분란 중 「교직일반, 논문」, 「교직이론 및 교직소양」, 「교직(평생교육사)」에 포함되어 있음.
  • 학정번호 : “SPT", "SPG", "SPL"로 시작됨.
  • “교직” 및 “선수”로 신청가능함 (단, “선수”는 자격증 취득 희망자에게만 해당됨)
교과교직
  • 본인의 전공 내 개설된 교직과목
  • 전공선택으로도 수강할 수 있음 (단, 교원자격증 취득을 원하는 원생은 반드시 ‘교직’으로 선택하여야 함)
  • 학정번호 숫자코드 중 셋째자리가 “9”로 표시되어 있음
 
  • 필수 이수학점 → 석사과정 : 2과목(4학점) ~ 4과목(8학점) / 연구과정 : 1과목(2학점) ~ 2과목(4학점), P.5 참조
  선수
  • 졸업학점으로 산정되지 않으며, 자격증 취득을 위해서만 사용되는 과목.
  • 각종 자격증 취득을 위해 필요한 필수과목을 “선수”로 신청하여 수강하기 위함임.
  • 교원자격증 취득을 준비하는 경우 ‘교직(교직이론)과목’ 중에서 ‘선수’로 신청.
  • 평생교육사 자격증 취득을 준비하는 경우 관련 필수과목을 ‘선수’로 신청.
  • 한 학기에 최대 2과목까지 수강할 수 있음.

학점 취득

석사과정
석사과정
과목종별 공통 교직 전필 전선 논문 연구지도
학점 3P (3과목 Pass) 4~8 6 10~14 4 2 30
과목 3 2~4 3 5~7 1 1  
연구과정
연구과정
과목종별 공통 교직 전필 전선 논문 연구지도
학점 1P(1과목 Pass) 2~4 4 4~6     12
과목 1 1~2 2 2~3      

학정번호 코드 설명

학정번호 구성
SPG(영문코드) 6643(숫자코드) - 01(분반코드)
  1. 1) 영문코드(3자리)
  2. 2) 숫자코드(4자리)
  3. 3) 분반코드(2자리)

(예. SKE6504-01, SEE6593-01, SPT6659-06)

학정번호 코드의 규칙
  1. 1) 영문코드 첫째자리 : 각 기관 고유코드로 교육대학원은 'S'입니다.
  2. 2) 영문코드 둘째, 셋째자리 : 전공을 나타내는 코드입니다.

    예) - 국어교육(Korean Education) : SKE6501, SKE6550 등...
    - 윤리교육(eTHics Education) : STH6501, STH6601등...

  3. 3) 숫자코드 네 자리 중 셋째자리 : 과목종별을 표시하는 코드입니다.
    0 : 전공필수 / 9 : 교과교직 / 2 ~ 8 : 전공선택

    예) SKE6501-01(전공필수), SEE6233-01(전공선택), STK6591-01(교과교직) 등.

  4. 4) 분반코드 두자리는 캠퍼스를 구분하기 위한 코드입니다.
    01 : 신촌캠퍼스 개설과목 / 02 : 신촌캠퍼스 개설과목(동일과목의 분반 시 부여됨) / 06 : 원주캠퍼스 개설과목

    예) - SPT6643-01 : 신촌캠퍼스
    - SPT6643-02 : 신촌캠퍼스(‘SPT6643-01’ 과 같은 과목명의 분반 과목)
    - SPT6643-06 : 원주캠퍼스

창 닫기